세계 196개국은 2015년 파리기후협정을 맺고 지구의 평균온도가 산업화 이전(1850 1900년) 대비 1.5 도를 초과하여 상승하지 않도록 약속하면서 전 지구적으로 2030년까지 탄소배출량을 2010년 대비 최소 45%이상 감축, 2050년에는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경로를 제시했습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을 비롯한 EU, 일본 등은 2050년까지 탄소중립 달성 목표를 선언하고 해당 내용이 반영된 자발적 탄소 감축 목표(NDC)를 제출하기로 합의하였습니다.
이후 2023년 아랍에미레이트 두바이에서 개최된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 Conference of the Parties)에 참여한 198개 당사국들은 지구 온도 상승 억제 1.5도 목표 달성을 위해 2030 년까지 에너지 부문에서 화석연료로부터의 전환(transitioning away from fossil fuels in energy systems)을 가속 화한다는 내용이 담긴 ʻUAE 컨센서스’를 채택했습니다.
또한, 2030년까지 전 지구적으로 재생에너지 용량을 3배로 확충하고 에너지 효율을 2배로 증대하며, 원자력 및 탄소 포집 활용·저장(CCUS) 등 저탄소 기술을 가속화하는 내용 등을 합의 하였습니다.
㈜진성테크윈은 글로벌 기후변화 대응 노력에 동참하고자 자체 분석한 2050년까지의 중장기 제조업 시장 상황 예측 및 사업계획을 바탕으로, 최초 적용(2025년 6월)을 기준으로 베이스라인 배출량을 설정하였습니다.
2030년까 지 사업장 RE100 달성을 포함하여 베이스라인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을 53% 감축, 2040년까지는 ㈜진성테크윈 범위 내 탄소중립을 달성하고 2050년까지 지역사회의 탄소 저감활동을 지원함으로 써 탄소중립을 넘어 사회적으로 탄소를 감축시키는 탄소네거티브 전략을 수립하였습니다.
구분 | 2030년 | 2040년 | 2050년 | 2050년 이후 |
---|---|---|---|---|
㈜진성테크윈 |
|
|
|
|
협력 회사 |
|
|